평행 포탑(43)
-
모바일 게임 패치.
실시간 패치 에셋을 사용하는데 하루 이틀 작업하면 쉽게 끝날 것으로 생각했다. 작업 특성과 난독화가 발목을 잡기 전까진. 한번 패치를 만들어서 테스트하려면 5~10분 소모해야 한가지 확인. 사냥감이 쓰러지느냐 내가 쓰러지느냐. ㅋ 삽질, 디버깅, 절망, 부활을 거쳐, 결론부터 말하자면, Obfuscator 툴의 Field 난독화를 끄면 잘 된다. (그러나 난독화에서 완전 제외 필요. ㅋ) 그래서 il2cpp + 난독화 기조는 계속 유지할 수 있다. 툴의 특징은, SharedResources : 씬에서 공통 사용하는 리소스를 지정한다. 예를 들어 두 씬이 사운드 컴포넌트에 동일한 사운드를 붙여 쓴다면 사운드 파일을 SharedResource 폴더에 두고 패치 툴에서 해당 폴더를 공유 리소스로 설정한다. 그..
2021.03.26 -
평행 포탑 : 유닛 밸런스 테스트 2차
벌써 한 주가 다 지나갔네요. UI 마감 작업 중 잠시 쉬는 마음으로 유닛 밸런스 테스트를 진행합니다. 특히 이번에는 AI 다양성의 실마리를 풀었습니다. 컨벡스헐과 외적 처리 기준을 적절히 조절하면 AI 플레이 성격이 다양해지네요. - 가입/인증/로그인 UI 퀄리티 업 youtu.be/IL783DdC5OA - AI 다양성 부여 기준 구현 (외적:녹색, 중심:빨간색, 스폰가능지역:노란색) - 기타 UI 마감처리 (설정 메뉴 다듬기, 선택 맵 저장, 게임 플레이 화면 배치 변경, TMP 글꼴 깨짐 수정. 유닛 밸런스 수정.) 밸런스 변경 테스트 방송. youtu.be/zCkL3uMGCPs ㄱㄱ
2021.03.21 -
평행 포탑 : 유닛 밸런스 테스트 1차
드디어 효과음이 나온다. 게임 UI를 담당할 전반적인 그래픽 리소스가 없어서 모던 스타일 UI로 진행했다. SF 스타일에도 적당히 어울리는 것 같다. - 설정창 - 모든 씬 세션 갱신 - 선택 맵 고정 - 공지 (웹 페이지) - 플레이 중 즉시 후퇴 버튼 추가. (밸런스 테스트에 사용. 일반에도 필요할까?) - 유닛 밸런스 테스트 1차 설정창 게임중 시차 맞추기 (BT 노드 추가 : ForceSuccess, ForceFailure) 밸런스 테스트 방송. youtu.be/wQXkdhDI6sU ㄱㄱ
2021.03.17 -
평행 포탑 : AI 플레이어 추가
작업 일지 512페이지, 깊은 고독의 강을 건너 드디어 AI 유저가 추가되었습니다. 가장 단순하면서 우직한 룰인데 가장 강하네요. ㅋ 뭔가 새롭게 추가되면 마치 살아있는 생명처럼 자연스럽게 업그레이드 요소들이 나타납니다. 결을 따라 알아서 성장 발전할 것 같습니다. 서비스 초반이 지나 게임에 익숙한 사람이 늘어나면, AI 성격을 도입하여 스토리 플레이를 추가해도 재밌을 것 같습니다. AI 테스트 플레이 youtu.be/d39P9Rvzjqw ㄱㄱ
2021.03.14 -
평행 포탑 : 플레이 테스트
출전과 대기 상태에 작은 화살표 마크 추가. 작지만 더 설명적이다. 낮에 진행한 플레이 테스트에서 나타난 버그 수정 끝. ㅋ - 스킨 상태에서 전체 충전시 비정상 동작. - 스킨 상태에서 용량 증설시 무시되는 버그 수정. - 전체 충전은 엔트리 충전으로 통합. - 엔트리 리스트 화면 정리 및 한글화. 기존 엔트리 화면. 정리 후 엔트리 화면. (우측 버튼 디자인은 아직이다. 흠..) 후반이 당황스러웠던 플레이 테스트. ㅋ youtu.be/mnuvVq8zHiw ㄱㄱ
2021.03.10